>
    • 사이트맵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
    • 시스템소개
    • 농업생산기반시설
    • 농촌용수
    • 용수관리정보
    • 수자원관련사업
    • 농업인참여채널
    • 정보마당
      • 시스템소개
      • 농업생산기반시설 개요
      • 농업생산기반시설 용어
      • 농업생산기반시설 현황
      • 농업생산기반시설 검색
      • 농촌용수 개요
      • 농촌용수 관리
      • 가뭄/홍수정보
      • 지하수
      • 저수율현황
      • 저수율보고
      • 방류/급수 알림
      • 공사관리구역
      • 수질정보
      • 실시간 계측정보
      • 수자원관련사업
      • 농업인 참여채널
      • 운영대의원
      • 관련법규 및 규정
      • 공지사항
      • 농어촌 물 정보
      • 저수지 수문조사연보
      • 관련용어
    페이지 visuals
    HOME >  용수관리정보 > 수질정보 > 농업용수 수질조사

    용수관리정보

    • 저수율 현황
    • 저수율 보고
    • 방류/급수 알림
    • 공사관리구역
    • 수질정보
    • 농업용수 수질조사
    • 농업용수 수질현황
    • 농업용수 수질조회
    • 실시간계측정보
    

    농업용수 수질조사

    농업용수 수질조사 개요

    추진목적

    • 전국 농업용 호소(저수지, 담수호)에 대한 정기적인 수질조사 및 수질오염 변화 추이 평가·분석
    • 농업용수 수질관리 정책수립 및 수질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합니다.

    근거법령

    • 농어촌정비법 제21조(농어촌용수 오염 방지와 수질 개선 등)
    •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ㆍ지원에 관한 법률 제11조(농어업 자원ㆍ환경 및 친환경 농어업 등에 관한 실태조사ㆍ평가)
    • 물환경 보전법 제9조(수질의 상시측정 등) 및 제28조(정기적 조사ㆍ측정 및 분석)
    • 농업용 호소 수질관리지침 제4조(수질조사)

    추진방향

    • 조사시설별 농업용수 수질환경기준 달성 여부 및 수질현황 판단
    • 과거 조사결과와 비교하여 조사시설별 수질변화 추이 분석
    • 유역내 수질오염원 현황 파악 및 오염 부하량 변화 추이 분석
    • 시설별 수질결과를 종합 평가하여 전국 단위의 농업용수 수질현황 및 변화 추이 분석

    사업내용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조사

    • 대상시설
      전국 주요 농업용 호소 975개 시설
      ’14년 825개소에서 ’15년부터 150개소 확대 실시 중 (단위 : 개소)
      구 분 계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계 975 3 7 14 4 2 11 1 56 60 78 118 115 230 161 115
      공사 수질측정망 950 3 7 14 4 2 11 1 51 60 78 112 111 222 160 114
      환경부 수질측정망 25  - -  -  -  -  -  -  5 -  -  6 4 8 1 1
      (단위 : 개소)
    • 조사주기
      년 4회(분기별), 매년 조사
    • 조사항목
      -수질조사 : 현장수질조사 및 수질 분석 시험(950개소)
      ※ 환경부 수질측정망 25개소 인용
      -현장조사시험(5항목) : 수온, pH, EC, DO, 투명도 측정 및 물시료 채취
      -실내실험(14항목) : TOC, COD, T-N, T-P, Cu, Pb, Cd, Hg, CN, Cr6+, As, SS, CI-, Chl-a
      -자료조사 및 환경조사 : 유역 내 오염원 및 환경기초시설 현황조사(975개소)

    농업용저수지 수질전수조사

    • 농업용저수지 수질전수조사('22년기준)
      - 지자체 관리 농업용저수지(13,685개소) 중 농업용수 수질측정망(99개소), 유효저수량 0㎥, 수혜면적 0ha인 시설을 제외한 대상시설을 3년에 나누어 조사(3,700개소/년)

      ※ 자료 : 2020년 농업생산기반정비통계연보(2021.농림축산식품부,한국농어촌공사)
    • 조사주기
      년 1회, 매년 조사
    • 조사방법
      - 시료채취에 의한 실내분석시험 : TOC, T-P(2개항목)

    공사관리 농업용호소 수질조사

    • 대상시설 (’22년 기준)
      - 공사관리 농업용 호소 3,439개 시설(담수호 18, 저수지 3,421)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대상시설 869개소 자료인용)
      ※ ’11년 공사관리 농업용호소 수질전수조사 3,373개소로 시작, ’18년 명칭 변경 지속 조사
      ※ 자료 : 2020년 농업생산기반정비통계연보(2021.농림축산식품부,한국농어촌공사)
    • 조사주기
      년 1회, 매년 조사
    • 조사방법
      - 시료채취에 의한 실내분석시험 : pH, EC, TOC, T-N, T-P, SS (6개항목)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백만원)
    구분 계획 '21년 까지 '22년 계획 '23년 이후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조사
    사업량 975개소 975
    (4회/년)
    975
    (4회/년)
    975
    (4회/년)
    사업비 (매년조사) 61,705 4,200 7,300
    농업용저수지
    수질전수조사
    사업량 약 10,000개소 약 7,500개소 약 3,700개소 약 3,700개소
    사업비 (매년 조사) 3,081 300 300

    사업 시행체계

    사업 시행체계 이미지
    한국농어촌공사
    • (우 58327) 전라남도 나주시 그린로 20(빛가람동 358)   TEL. 061-338-5114   FAX: 061-338-6901~2 도로명주소안내
    • COPYRIGHT(C) 2017 KRC.ALL RIGHT RESERVED.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