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이트맵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
  • 시스템소개
  • 농업생산기반시설
  • 농촌용수
  • 용수관리정보
  • 수자원관련사업
  • 농업인참여채널
  • 정보마당
    • 시스템소개
    • 농업생산기반시설 개요
    • 농업생산기반시설 용어
    • 농업생산기반시설 현황
    • 농업생산기반시설 검색
    • 농촌용수 개요
    • 농촌용수 관리
    • 가뭄/홍수정보
    • 지하수
    • 저수율현황
    • 저수율보고
    • 급수예고
    • 공사관리구역
    • 수질정보
    • 실시간 계측정보
    • 수자원관리계획
    • 수자원관련사업
    • 농업인 참여채널
    • 운영대의원
    • 관련법규 및 규정
    • 공지사항
    • 자료실
    • 관련용어
페이지 visuals
HOME >  농촌용수 >  수요량/공급량 > 수요량/공급량

농촌용수

  • 농촌용수 개요
  • 농촌용수 관리
  • 가뭄/홍수정보
  • 수요량/공급량
  • 수요량/공급량
  • 농촌용수 수요량
  • 농촌용수 공급량
  • 지하수

수요량/공급량 개요

농업용수 공급량과 수요량

농촌용수는 농어촌 지역에 필요한 생활용수, 농업용수, 공업용수, 수산용수와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용수로써, 관개용수, 수로유지용수, 영농용수 등 농업에 이용되는 농업용수와 지역사회 활용 용수, 환경 용수 등 광의의 지역ㄱ용수를 포함하는 용수를 말합니다.
  • 농업용수 공급량이란 수리시설물에서 농업용수 수요에 의해 공급되는 용수량으로 강우에 의해 농경지에 작물재배기간 중 이용되는 수량(유효우량)을 제외한 실제 농경지(논/밭)에서 작물재배를 위해 이용되는 수량 및 수리불안전답, 비관개전에 이용되는 용수로, 수리시설물에서 실제 이루어지고 있는 공급량을 말합니다.
  • 농업용수 수요량이란 논/밭의 작물생육에 필요한 용수, 농약/비료살포 등 영농작업을 위한 영농용수 등 농업활동에 필요한 수량으로써 유효우량이 제외된 10년 빈도 가뭄 시 경제에서 필요로 하는 수량과 가축 음용수량, 축사 및 기계/기구청소에 필요한 세정수량과 초지 조성에 필요한 용수 및 축산물 가공에 필요한 용수를 더한 수량(축산용수 수요량)을 말합니다.

수요량 추정방법

  • 농업용수 수요량을 추정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전국적으로 적용하기에 적합한 방법으로는 경지에서 발생하는 각 작물별 사용 수량. 즉, 소비수량을 계측하여 전국적으로 누계하는 방법, 대표작물 및 계측지구의 단위필요수량이 구역을 대표한다는 가정 하에 전체 필요수량을 추정하는 방법, 작물성장에 필요한 증발산량을 정립된 이론 및 공식을 통하여 추정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 본 시스템에서는 직접 측정하는 방법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필요수량을 이론적인 방법으로 정립하고 경지면적을 중심으로 지역별 기상, 토양특성 등을 반영하여 전체 농업용수 수요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농업용수 수요량 구성요소 비교

구분 수립연도
1965년
(70~80)
1980년
(81~90)
1990년
(91~96)
1996년
(97~00)
2001년
(01~05)
2006년
(06~20)
수요량 구분 논용수+밭용수 좌동 좌동 좌동 논용수+밭용수+축산용수 좌동
논용수 수리답+수리불안전답 좌동 좌동 좌동 죄동
직파재배
(담수,건답)고려
좌동
밭용수 관개전(과수원) 좌동 좌동 좌동 관개전+간이관개전 좌동
축산용수 미고려 좌동 좌동 좌동 양축용수+가공용수 좌동

논용수

  • 논용수 수요량은 벼의 증발산량, 침투량, 기타 관리용수량 및 작물이 강우를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유효우량을 고려하여 당일의 필요수량을 산정합니다.
  • 일 필요수량을 누적시켜 산정한 연 필요수량의 빈도분석을 통하여 10년 빈도 한발년에 대한 수요량을 산정합니다.
  • 논용수 수요량 중 수리답의 경우 수리시설물에 의하여 용수를 공급받게 되므로 송수관리용수와 배분관리용수가 고려되며 수리불안전답인 경우 당일의 필요수량을 수요량으로 산정합니다.
  • 수리답 중 이앙재배와 직파재배(건답, 담수)는 영농방식에 따른 재배관리 용수량을 고려합니다.
밭작물법 반복 루틴 이미지

축산용수

  • 축산용수는 가축두수당 물사용량인 양축용수와 가축 가공용수를 더하여 산정합니다.
  • 축산용수는 수요량 산정 시 축종은 가축통계에서 용수사용량이 많고 사육빈도가 높은 한육우, 젖소, 돼지, 닭을 대표 축종으로 결정합니다.
축산용수 순서도 이미지

수요량 산정결과

  • 여건 변화에 따른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결과

  • (단위 : 백만㎥)
구분 년도
2007년 2011년 2016년 2020년 2025년
기준소요 15,909 15,609 15,395 15,267 14,937
고소요 15,909 15,813 15,789 15,771 15,429
저소요 15,909 15,444 15,023 14,763 14,445
한국농어촌공사
  • (우 58327) 전라남도 나주시 그린로 20(빛가람동 358)   TEL. 061-338-5114   FAX: 061-338-6901~2 도로명주소안내
  • COPYRIGHT(C) 2017 KRC.ALL RIGHT RESERVED.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