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이트맵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
    • 시스템소개
    • 농업생산기반시설
    • 농촌용수
    • 용수관리정보
    • 수자원관련사업
    • 농업인참여채널
    • 정보마당
      • 시스템소개
      • 농업생산기반시설 개요
      • 농업생산기반시설 용어
      • 농업생산기반시설 현황
      • 농업생산기반시설 검색
      • 농촌용수 개요
      • 농촌용수 관리
      • 가뭄/홍수정보
      • 지하수
      • 저수율현황
      • 저수율보고
      • 방류/급수 알림
      • 공사관리구역
      • 수질정보
      • 실시간 계측정보
      • 수자원관련사업
      • 농업인 참여채널
      • 운영대의원
      • 관련법규 및 규정
      • 공지사항
      • 농어촌 물 정보
      • 저수지 수문조사연보
      • 관련용어
    페이지 visuals
    HOME >  농업생산기반시설 >  농업생산기반시설 용어

    농업생산기반시설

    • 농업생산기반시설 개요
    • 농업생산기반시설 용어
    • 농업생산기반시설 현황
    • 농업생산기반시설 검색
    

    농업생산기반시설 용어

    수원공

    일정한 수혜구역내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물을 집수, 도수 또는 배수하는 시설

    수원공의 종류

    • 저수지
      저수지
      하천의 계곡에 댐을 축조하여 저수하는 시설로서, 주위에 흙을 이용하여 만든 규모가 작은 소류지도 이에 포함
      양수장
      양수장
      강이나 하천의 수면이 관개지역보다 낮아 자연 관개를 할 수 없을 경우 강이나 하천의 물을 이용하기 위해 물을 양수하여 관개하는 시설
    • 배수장
      배수장
      배수가 불량이거나 홍수 시 물이 하천이나 강으로 빠지지 못하여 농경지 등이 침수되는 경우 물을 배수하는 시설
      양·배수장
      양·배수장
      양수와 배수를 같이 할 수 있는 시설(양·배수겸용시설)
    • 보
      보
      하천에서 관개용수를 농경지에 공급하기 위하여 하천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로막는 시설
      집수암거
      집수암거
      지하수 등을 채수하기 위하여 하천의 바닥을 굴착하여 유공관을 매설, 관개급수 하는 시설
    • 관정
      관정
      지하에 일정한 관(철관, 콘크리트관, PVC관등)을 매설하여 지하수를 양수하여 이용하는 시설
      기타시설
      방조제
      해면간척지에서 밀려드는 조수의 피해로부터 농지를 보호하기 위한 제방을 말한다.

    수원공의 구분

    •  주수원공
    • 지표수 또는 지하수를 1차적으로 농업용수로 전환하는 시설 즉, 수원공의 주가 되는 시설
      ※2단 양수장에 의한 수혜구역이 있을 경우, 제1단 양수시설(1단 양수장)은 주수원공이고 제2단 양수시설(2단 양수장)은 부속시설
    •  보조수원공
    • 주수원공의 수혜구역내에서 주수원공의 용수량이 부족할 때 그 부족량을 보충하기 위하여 설치한 보조시설
    •  부속시설
    • 1차적으로 생산된 농업용수를 2차적으로 이용하는 시설 즉, 주수원공이나 보조수원공의 용수를 원활히 관개할 수 있도록 주수원공이나 보조수원공에 부속되어 설치된 시설

    면적

    총 답면적

    통계청 경지면적조사의 논 면적으로 지목에 관계없이 논 작물을 재배하는 농지면적(수리답+수리불안전답)

    수리답 면적 : 주수원공 관개의 혜택을 받는 논 면적 (구역내+구역외+기타)
    • 구역내 : 인가면적 내의 수혜면적
    • 구역외 : 인가면적외의 수리시설이 없는 인접지역에 급수하는 면적
    • 기타 : 들샘 등 기타시설에 의한 수혜면적
    ※보조수원공 수혜면적 : 보조수원공의 관개에 의한 용수를 공급받는 논 면적으로 주수원공의 수혜면적에 포함되어 있는 면적(수리답면적에 포함되지 않음)

    수리불안전답 면적 : 수리시설 미비로 주로 자연에 의존하여 관개하는 논으로 평년에도 물 부족 현상이 있는 논(천수답 등) 면적
    ※수리답율 : 전체 답 면적 중 수리답이 차지하는 비율(수리답면적÷답면적)한발빈도별 관개면적 : 한발(가뭄)현상이 나타나는 빈도에서도 관개시설의 물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관개할 수 있는 면적

    한발빈도별 관개면적

    가뭄 현상의 수준과 정도에 따라 관개 능력별 면적 ※'한발빈도 10년이상 관개면적'은 10년 만에 올 수 있는 큰 가뭄에도 관개 가능한 면적을 의미

    인가면적

    농업용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법적으로 인가 받은 면적(수혜면적+미수혜면적)
    수혜면적 : 농업생산기반시설로 부터 혜택을 받는 면적
    미수혜면적 : 사업의 인가면적 중 아직 사업의 혜택을 받고 있지 않은 면적(공사 중, 미착공 등)

    용.배수로

    • 용수로
      용수원으로부터 물을 농경지까지 보내기 위한 수로
      용수로 간선
      용수원으로부터 두 개 이상의 지선 또는 하나 이상 지선과 지거 및 분선으로 연결되는 수로
    • 용수로 지선
      도수로와 용수간선으로부터 용수를 받아 두 개 이상의 지거 또는 하나 이상의 지거 및 분선으로 연결되는 수로
      용수로 지거
      간선 및 지선으로부터 용수를 받아 경작지와 직접 연결시키는 말단수로
    • 배수로
      잉여수나 불요수를 저지 또는 강, 호수, 바다로 배출하는 수로
      배수로 간선
      2개 이상의 지선 또는 하나 이상 지선,지거 및 분선으로부터 잉여수 및 불요수를 받아 최종적 배출지점으로 연결시키는 수로
    • 배수로 지선
      2개 이상의 지거 또는 하나 이상 지거 및 분선으로부터 잉여수 및 불요수를 받아 배수간선으로 연결시키는 수로
      배수로 지거
      경작지의 과잉수나 불요수를 배수간선 및 배수지선으로 연결시키는 첫 단계의 수로

    기타

    • 홍수량
      유역면적내의 홍수 때에 증가한 하천의 유량
      유효저수량
      이용할 수 있는 저수용량. 즉, 총 저수량에서 수면증발 등의 저수지내 손실수량을 공제하고 남은 양
    • 제방
      유수의 범람을 방지하고 유수를 일정한 유로 내에서 안전하게 물을 흘러내리기 위해 인공적으로 만든 둑
      갈수량
      1년 중 355일은 이보다 더 내려가지 않은 수량. 즉, 그 이하로 내려가는 것이 10일이 넘지 않는 양
    • 채수량
      하천, 관정 등에서 물을 양수하여 쓸 수 있는 양
      취수량
      저수지, 양수장 등 수원에서 관개용수로 공급되는 수량으로 순관개용수량에 수로손실(도수 중 손실, 조작 중 손실 등)을 합한것
    • 양정
      압력으로 나타내는 펌프의 성능이며 일반적으로 펌프가 물을 퍼 올리는 높이를 나타냄.
    한국농어촌공사
    • (우 58327) 전라남도 나주시 그린로 20(빛가람동 358)   TEL. 061-338-5114   FAX: 061-338-6901~2 도로명주소안내
    • COPYRIGHT(C) 2017 KRC.ALL RIGHT RESERVED.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