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이트맵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
    • 시스템소개
    • 농업생산기반시설
    • 농촌용수
    • 용수관리정보
    • 수자원관련사업
    • 농업인참여채널
    • 정보마당
      • 시스템소개
      • 농업생산기반시설 개요
      • 농업생산기반시설 용어
      • 농업생산기반시설 현황
      • 농업생산기반시설 검색
      • 농촌용수 개요
      • 농촌용수 관리
      • 가뭄/홍수정보
      • 지하수
      • 저수율현황
      • 저수율보고
      • 방류/급수 알림
      • 공사관리구역
      • 수질정보
      • 실시간 계측정보
      • 수자원관련사업
      • 농업인 참여채널
      • 운영대의원
      • 관련법규 및 규정
      • 공지사항
      • 농어촌 물 정보
      • 저수지 수문조사연보
      • 관련용어
    페이지 visuals
    HOME >  농업생산기반시설 >  농업생산기반시설 개요

    농업생산기반시설

    • 농업생산기반시설 개요
    • 농업생산기반시설 용어
    • 농업생산기반시설 현황
    • 농업생산기반시설 검색
    

    농업생산기반시설 개요

    농업생산기반시설 종류

    • 저수지(Reservoir)
      하천의 계곡에 댐을 축조하여 저수하는 시설로 물의 저류,조정,조절 등을 하기 위한 인공적인 못입니다.
    • 양수장(Pumping Station)
      강이나 하천의 물을 농경지에 공급할 목적으로 높은 곳 (산, 정상 등)에 양수하여 관개하는 시설로 펌프, 동력장치, 제어장치, 흡입 및 배출관로, 건물을 포함합니다.
    • 집수암거(Infiltration Gallery)
      복류수와 지하수를 채취하기 위하여 하천의 바닥을 굴착하여 유공관을 매설, 급수하는 시설로 주로 모래질 토양에 설치하며 별도의 양수시설을 설치하여 농경지에 용수를 공급합니다.
    • 취입보(Diversion Weir)
      하천에서 관개용수를 농경지에 공급하기 위하여 하천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로막아 하천의 수위를 높이는 시설로서 취수보, 취수구 및 부대시설 등으로 구성됩니다.

    농업생산기반시설 수리답 면적

    • 저수지, 양배수장 등 수리시설물에 의해 용수를 공급받는 수리답 면적은 696천ha(2017년)
    • 수리시설별 수리답 면적은 저수지 427천ha, 양(배)수장 177천ha, 취입보 53천ha, 관정 29천ha, 집수암거 7천ha, 기타 4천ha
    기반시설물별 수리답 면적

    기반시설물 개소수

    • 2019년 기준 수리시설물 수 : 총 72,610개소
    • 저수지 17,240개소, 양(배)수장 8,723개소, 취입보 17,955개소, 집수암거/집수정 2,615개소, 관정 26,077개소, 방조제 1,673개소
    • 최근 5년간 수리시설물 수의 추이를 보면 저수지, 짐수암거는 정체, 보는 감소추세이고, 양(배)수장, 관정은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기반시설물 개소수
    한국농어촌공사
    • (우 58327) 전라남도 나주시 그린로 20(빛가람동 358)   TEL. 061-338-5114   FAX: 061-338-6901~2 도로명주소안내
    • COPYRIGHT(C) 2017 KRC.ALL RIGHT RESERVED. 관리자